콜레스테롤도 우리 몸에 좋은 게 있고, 나쁜 게 있나요?
혈액 속에 존재하는 지질(기름 성분)은 콜레스테롤, 고밀도(HDL)-콜레스테롤, 저밀도(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성분이면서 여러 가지 호르몬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초 원료로 80%는 간에서 만들어지고 20%는 음식에서 얻어지는 우리 몸의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성분입니다.
저밀도(LDL)-콜레스테롤이란 흔히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르며, 죽상경화증(혈관벽에 지질 등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것)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뇨인의 경우 저밀도-콜레스테롤을 100 mg/dL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중성지방이란 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것 이상의 영양분을 섭취하면 몸에서 쓰고 남은 영양분이 중성지방으로 전환되어 지방조직에 저장됩니다. 이렇게 지방조직에 저장되는 형태의 지질을 중성지방이라고 부르며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콜레스테롤과 사촌 지간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혈액 속의 중성지방이 필요 이상 높으면 급성 췌장염이 생길 수 있고, 심혈관 질환 발생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만, 당뇨병이 있거나 오랜 기간 과음을 하면 중성지방이 상승하기 쉽고 당뇨인은 중성지방을 150mg/dL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밀도(HDL)-콜레스테롤이란 흔히 좋은 콜레스테롤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죽상경화증이 생기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당뇨인은 고밀도-콜레스테롤을 남성은 40 mg/dL 이상, 여성은 50 mg/dL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인의 주된 사망원인은 심혈관 질환이며, 심혈관 질환이 생기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혈관이 좁아지는 죽상경화증입니다. 저밀도-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높거나 고밀도-콜레스테롤이 낮으면 죽상경화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당뇨인은 지질 수치를 앞에서 말한 범위 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모든 당뇨인은 적어도 1년에 한번씩은 혈액 검사를 시행하여 혈중 지질수치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 해야 하며, 이상이 있을 경우 이를 교정하기 위해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필요한 경우 약물을 복용해야 합니다.
자료제공 :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건강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 들수록 인생의 만족도 높아져 (0) | 2010.11.25 |
---|---|
소를 잃었어도 외양간을 고쳐야 하는 이유 (0) | 2010.11.25 |
30대 2명 중 1명 운동 ‘제로’, 성인병 ‘적신호’ (0) | 2010.11.25 |
손에 관한 제언 (0) | 2010.10.27 |
손은 답을 알고 있다(78가지) (0) | 2010.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