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교육에 답이 있다
---묻고 대화하는 ‘하브루타’의 지혜---
일방보다 쌍방, 암기보다 토론
하나의 정답보다 다양한 해답
“교육이란 학교에서 배운 것을 모두 잊어버린 후에 자기 속에 남는 것을 말한다.”
아인슈타인이 자서전에서 교육에 대해 정의한 말이다. 교육은 단편적 지식이 아니라 몸에 남는 인성이고 창의성이며 문제해결 능력과 사고방식이다. 그러나 우리 교육의 현주소는 ‘듣고, 외우고, 시험보고, 잊어버리기’의 반복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전성수 부천대 유아교육과 교수는 그 해답을 수천 년 간 이어 온 유대인들의 전통학습법 ‘하브루타’에서 찾았다. 하브루타는 탈무드를 공부할 때 함께 토론하는 짝, 즉 파트너를 일컫는 것으로 최근에는 ‘짝을 지어 질문하고 토론하는 교육 방법’을 뜻하는 말로 확대 사용된다. ‘하브루타’가 교육에 미치는 시사점을 살펴본다.
부모가 이야기하는 시간 짧아야
정체성교육 기본은 역사와 철학
▨ 성공보다 가정이 우선=유대인이 자녀교육에 성공하는 이유는 가정에서 자녀와 보내는 시간을 잘 활용하기 때문이다. 부모들은 퇴근 후 아이들이 잠자리에 들기까지 온전히 아이와 시간을 보낸다. 전 교수는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 사이에 나누는 대화는 자녀로 하여금 안정된 애착을 갖게 해 행복감을 주고 뇌를 자극시켜 자녀를 성공으로 이끈다”고 밝혔다. 가정에서의 하브루타는 장기를 두면서도, 목욕이나 식사를 하면서도 얼마든지 가능한 놀이이자 공부라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야기를 듣는 시간보다 부모가 말하는 시간이 더 길어서는 안 된다. 아이들은 그것을 대화로 생각하지 않고 잔소리로 받아들이기 시작할 것이기 때문이다.
▨ 정체성을 교육하라=유대인들은 2000년을 흩어져 있어도 정체성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민족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전 교수는 “우리가 가장 소홀한 것 중 하나가 정체성 교육”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체성 형성에 가장 좋은 교과가 역사, 철학, 신학 등이지만 학교에서 철학은 거의 교육하지 않고, 한국사를 가르쳐야 하는지 마는지를 놓고 정부마다 우왕좌왕 하는 것을 보면 우리가 얼마나 정체성 교육에 실패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알 수 있다”고 일침을 놓았다. 부모로서, 한국인으로서의 긍지가 있다면 ‘유학 보냈다’, ‘명문대에 합격했다’고 자랑하기 위해 자녀를 키우지는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 조기학습이 아닌 조기교육을=부모가 자녀를 도와준다고 하는 일들이 오히려 자녀를 힘들게 하고, 상처를 주고, 동기를 꺾는다면? 그 대표적 예가 조기학습이다. 조기학습은 뇌 발달에 따른 학습의 시기를 고려하지 않고 이른 시기에 영어나 숫자 등 인지적인 것을 학습시킨다. 전 교수는 “아이의 발달 상태와 맞지 않는 선행학습은 정신적 부담감으로 이어지는 것은 물론 실패로 인한 좌절 등으로 학습동기를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는 “대부분 무리한 조기학습은 부모의 욕심과 불안감에 기인한다”며 “아이들의 뇌가 원하는 것을 주는 적기교육과 복습이 선행학습의 몇 배 이상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듣는 교육이 아닌 묻는 교육=“오늘 선생님 말씀 잘 들었니?”이것은 학교에서 돌아온 아이에게 한국의 부모가 가장 많이 묻는 내용이다. 하지만 유대인 부모들은 “오늘 선생님에게 무슨 질문을 했는가”를 묻는다. 질문을 통해 생각하는 습관이 몸에 밴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하루에 길게는 15시간 이상을 학교와 학원, 과외 교사에게 듣는 공부만 하는 우리 학생들. 떠밀려 공부한 탓에 명문대에 들어간 후 공부할 의미를 찾지 못하고 방황하게 되는 것도 무리는 아닐 터. 아이들에게 외적 동기 말고 내적 동기를 심어주자는 것이 하브루타의 지혜다.
▨ 현장 도입 앞장서는 교사들=경기 고양제일중 교사들은 중등교육에 하브루타식 토론수업을 적용하기 위해 동아리를 조직했다. 박경란 교사는 “음악, 국어, 도덕, 과학, 사회 등 다양한 영역의 교사들이 모여 교수학습모형을 개발, 적용하고 있다”며 “현장에 일반화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하며 컨설팅 받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구남부교육지원청도 교사 동아리를 조직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부산시교육연수원도 지난 4월 첫 직무연수를 실시하고 현재 2차 연수를 계획하고 있다. 전 교수는 “질문이 살아있는 교육의 필요성에 학교와 사회가 공감하기 시작했다”며 “하브루타 학습법이 성적보다 실력을 중요시하는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아인슈타인이 자서전에서 교육에 대해 정의한 말이다. 교육은 단편적 지식이 아니라 몸에 남는 인성이고 창의성이며 문제해결 능력과 사고방식이다. 그러나 우리 교육의 현주소는 ‘듣고, 외우고, 시험보고, 잊어버리기’의 반복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전성수 부천대 유아교육과 교수는 그 해답을 수천 년 간 이어 온 유대인들의 전통학습법 ‘하브루타’에서 찾았다. 하브루타는 탈무드를 공부할 때 함께 토론하는 짝, 즉 파트너를 일컫는 것으로 최근에는 ‘짝을 지어 질문하고 토론하는 교육 방법’을 뜻하는 말로 확대 사용된다. ‘하브루타’가 교육에 미치는 시사점을 살펴본다.
부모가 이야기하는 시간 짧아야
정체성교육 기본은 역사와 철학
▨ 성공보다 가정이 우선=유대인이 자녀교육에 성공하는 이유는 가정에서 자녀와 보내는 시간을 잘 활용하기 때문이다. 부모들은 퇴근 후 아이들이 잠자리에 들기까지 온전히 아이와 시간을 보낸다. 전 교수는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 사이에 나누는 대화는 자녀로 하여금 안정된 애착을 갖게 해 행복감을 주고 뇌를 자극시켜 자녀를 성공으로 이끈다”고 밝혔다. 가정에서의 하브루타는 장기를 두면서도, 목욕이나 식사를 하면서도 얼마든지 가능한 놀이이자 공부라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야기를 듣는 시간보다 부모가 말하는 시간이 더 길어서는 안 된다. 아이들은 그것을 대화로 생각하지 않고 잔소리로 받아들이기 시작할 것이기 때문이다.
▨ 정체성을 교육하라=유대인들은 2000년을 흩어져 있어도 정체성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민족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전 교수는 “우리가 가장 소홀한 것 중 하나가 정체성 교육”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체성 형성에 가장 좋은 교과가 역사, 철학, 신학 등이지만 학교에서 철학은 거의 교육하지 않고, 한국사를 가르쳐야 하는지 마는지를 놓고 정부마다 우왕좌왕 하는 것을 보면 우리가 얼마나 정체성 교육에 실패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알 수 있다”고 일침을 놓았다. 부모로서, 한국인으로서의 긍지가 있다면 ‘유학 보냈다’, ‘명문대에 합격했다’고 자랑하기 위해 자녀를 키우지는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 조기학습이 아닌 조기교육을=부모가 자녀를 도와준다고 하는 일들이 오히려 자녀를 힘들게 하고, 상처를 주고, 동기를 꺾는다면? 그 대표적 예가 조기학습이다. 조기학습은 뇌 발달에 따른 학습의 시기를 고려하지 않고 이른 시기에 영어나 숫자 등 인지적인 것을 학습시킨다. 전 교수는 “아이의 발달 상태와 맞지 않는 선행학습은 정신적 부담감으로 이어지는 것은 물론 실패로 인한 좌절 등으로 학습동기를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는 “대부분 무리한 조기학습은 부모의 욕심과 불안감에 기인한다”며 “아이들의 뇌가 원하는 것을 주는 적기교육과 복습이 선행학습의 몇 배 이상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듣는 교육이 아닌 묻는 교육=“오늘 선생님 말씀 잘 들었니?”이것은 학교에서 돌아온 아이에게 한국의 부모가 가장 많이 묻는 내용이다. 하지만 유대인 부모들은 “오늘 선생님에게 무슨 질문을 했는가”를 묻는다. 질문을 통해 생각하는 습관이 몸에 밴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하루에 길게는 15시간 이상을 학교와 학원, 과외 교사에게 듣는 공부만 하는 우리 학생들. 떠밀려 공부한 탓에 명문대에 들어간 후 공부할 의미를 찾지 못하고 방황하게 되는 것도 무리는 아닐 터. 아이들에게 외적 동기 말고 내적 동기를 심어주자는 것이 하브루타의 지혜다.
▨ 현장 도입 앞장서는 교사들=경기 고양제일중 교사들은 중등교육에 하브루타식 토론수업을 적용하기 위해 동아리를 조직했다. 박경란 교사는 “음악, 국어, 도덕, 과학, 사회 등 다양한 영역의 교사들이 모여 교수학습모형을 개발, 적용하고 있다”며 “현장에 일반화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하며 컨설팅 받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구남부교육지원청도 교사 동아리를 조직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부산시교육연수원도 지난 4월 첫 직무연수를 실시하고 현재 2차 연수를 계획하고 있다. 전 교수는 “질문이 살아있는 교육의 필요성에 학교와 사회가 공감하기 시작했다”며 “하브루타 학습법이 성적보다 실력을 중요시하는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한국교육신문 2013. 7. 15. 김예람yrkim@kfta.or.kr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興味 意味 妙味로 버무린 맛있는 수업 (0) | 2013.07.25 |
---|---|
아이들에게 ‘결핍’을 겪게 해야 하는 이유 (0) | 2013.07.24 |
★ 박근혜 대통령 연설 전문 ★ (0) | 2013.07.03 |
칭찬보다 힘든 훈육의 기술 (0) | 2013.04.08 |
새내기 선생님들께 드리는 글 (0) | 2013.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