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교육

아침 독서, 짬 읽기

by 많은이용 2018. 3. 19.

아침 독서, 짬 읽기


최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17 국민독서실태조사’에 따르면 아침 독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의 학생이 1년 간 읽은 책 권수가 각각 47권과 16권으로 나타났다.  
 
또 1년에 1권 이상 독서를 한 학생 비율은 초등생 98.0%, 중학생 94.1%, 고등학생 62.3%인 것으로 드러났다. 2015년보다 평균 2.5% 감소한 결과다. 연간 독서량과 독서율이 계속 떨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공부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29.1%)였다. 주목할 점은 학생 10명 중 7명은 ‘책 읽기가 학교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것이다. 
 
독서는 수위 교과이자 주지교과인 국어과 교육과정 영역의 핵심이다. 독서가 학습과 지식의 기본이라는 얘기다. 
 
2017학년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2015 개정교육과정과 교육부의 정책으로 초등 3학년 이상 모든 학생들은 학기당 양서 1권 이상을 읽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학교의 독서 환경과 장서량은 개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우선 학생 등교 시각이 9시로 바뀌면서 아침 독서가 어려워졌다. 또 정규 교과 시간, 오후 돌봄과 방과후 학교 시간 등으로 학교에서 독서할 시간이 현저히 부족해졌다.
 
이 시점에서 사회적 독서 분위기 조성이 시급해 보인다. 
 
우선 전국 초·중·고교의 9시 등교 정책은 자율화 돼야 한다. 단위 학교의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등교 시각을 정해 아침 독서 활동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가정과 사회에서는 틈틈이 독서를 하는 ‘틈(짬) 책읽기 활동’을 생활화해야 한다. 그런 모범이 학생들의 독서습관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 문체부 등 관련 당국은 전국 방방곡곡에 작은 도서관들을 많이 짓는 등 국민들의 독서 환경 개선에 아낌없이 투자해야 한다. 

자료출처 : 한국교육신문    박은종(충남 광석초 교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