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영어 절대평가 땐 1등급 무더기로 나올 수도

by 많은이용 2014. 8. 29.

영어 절대평가 땐 1등급 무더기로 나올 수도

 

황우여 장관 "이르면 현재 중3부터 수능 영어절대평가"

국어·수학 사교육 늘어날 듯      "혼란 줄일 연착륙 방안 고민… 하위 15%

대학 재정지원 제한, 올해 끝으로 폐지하겠다"

황우여 교육부 장관이 27일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은 초·중등교육과 대학 입시 등에 적잖은 변화와 파장을 몰고 올 사안이다. 당장 현재 중학교 학생들은 영어 학습 부담이 줄어들겠지만, 수학과 국어의 대학 입시 변별력이 높아지면서 해당 과목 사교육이 늘어날 것이란 반응이 나오고 있다.

이르면 현재 중3 학생부터 적용

황 장관은 "과도한 사교육 시장과 수십년에 걸친 영어 투자가 무슨 결실을 냈고, 무엇을 위한 것인가 근본적인 의문이 생긴다"며 "이 정도면 해외에서 소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준을 정해 영어 교육을 하면 된다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싶다"고 절대평가 추진 배경을 밝혔다.
지난 2월 교육부의 대통령 업무 보고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사교육비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영어 사교육 부담을 대폭 경감해야 한다"고 발언한 것과 맥을 같이하는 발언이다.

수능 영어에 절대평가를 도입하는 시기에 대해 황 장관은 "2017학년도 또는 2018학년도부터 하느냐, 어떤 방법으로 하느냐 등을 실무선에서 마지막 단계로 전문가들과 논의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다. 교육부 안팎에서는 이르면 2018학년도에 이 제도가 도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 대학 입시 '3년 예고제'에 따라 올해 영어 절대평가를 결정해도 3년 후인 2018학년도 입시부터 시행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현재 중3 학생이 첫 수능 영어 절대평가 대상이 된다.

황 장관은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꾸더라도 (수험생에게) 큰 충격이 될 수 있어 중간 단계를 어떻게 만드느냐, (절대평가로) 연착륙할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능 영어가 절대평가가 되면 영어 성적표가 대폭 바뀌게 된다. 현행 수능 영어는 상대평가다. 응시생들을 성적대로 한 줄로 세워서 9개 등급으로 나눈다. 예컨대 상위 4% 이내에 드는 학생들만 1등급을 받는다. 여기에다 개인별 백분위, 표준점수 등이 나와 대학들이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하지만 절대평가로 바뀌면, 일정 점수 이상은 모두 같은 등급(점수)을 받게 된다. 만약 수능 영어 과목이 쉽게 출제되면 30~40% 수험생이 1등급을 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수능 영어 상대평가와 절대평가의 차이 비교표

하지만 일부에서는 영어 상대평가가 사교육 '풍선효과'를 가져와 수학·국어 사교육 규모만 키우게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한 입시 전문가는 "중·고교 사교육비 규모는 영어보다 오히려 수학이 더 큰데, 영어만 절대평가를 하면 수학 등 다른 과목의 사교육비가 급증하는 부작용이 일어날 것"이라며 "무엇보다 입시에서 수학의 영향력이 절대적으로 커져 수학 못하면 대학에 가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아예 국어와 수학을 포함한 수능의 다른 과목까지 절대평가로 전환해 수능을 자격시험 체제로 바꾸는 게 어떠냐는 얘기도 하고 있다.

"대학 구조 개혁, 틀은 유지하되 방법은 바꾸겠다"

이날 간담회에서 황 장관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 구조조정의 큰 틀은 유지하되 그 방식은 바꾸겠다고 밝혔다. 일괄적인 입학 정원 감축보다는 새로운 대학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정원을 감축하는 대학에 가산점을 줘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에 유리하도록 한 기존의 구조조정 방식에 대해 황 장관은 "정부 재정 지원사업마다 정원 감축을 연계하면 대학이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며 구조조정 방식을 재검토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황 장관은 이어 정부가 대학을 평가해 하위 15%의 대학은 재정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데 제한을 두도록 한 '정부 재정지원 제한 대학' 지정도 올해를 끝으로 폐지하겠다고 말했다. 또 대학 평가의 주체를 공적 기관의 특별위원회로 바꾸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황 장관은 학생 수 감소에 따른 대학의 생존 방안 중 하나로 대학의 세계화를 통해 재외 동포와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는 것을 들었다. 또 정원을 못 채우는 대학을 사내 대학이나 평생교육시설 등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거론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