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마지막 10년] '老年의 삶' 접한 2030세대 "왜 몰랐을까요, 이분들도 꿈 있다는걸…"
조부모와 살아보지 않은 20代 '실제' 노인에 대해 잘 몰라
-어르신의 이야기 들어보라
평범한 삶 속에도 철학 있고 욕망을 다스리는 법도 알아… '복지 갈등' 줄이는데도 도움
열네 살부터 양복 일을 배웠다. 갓 스물에 상경해 명동 유명 양복점에 취직했는데 5·16이 터졌다. 박정희 대통령이 공무원들에게 양복 대신 재건복을 입으라고 했다. 일감이 끊겨 실업자 신세가 됐다. 이후 호기롭게 자기 가게를 냈다가 연거푸 망했다. 장사가 너무 잘돼 흥청망청 돈 쓰다 문 닫은 적도 있다. 가게 문 앞에 굴다리 공사가 벌어져 행인 발길이 뚝 끊긴 적도 있다. 그걸 극복하니 이번엔 IMF 외환 위기가 오는 식이었다.
얼마 전, 모르는 젊은이 5명이 그를 찾아와 "인터뷰 좀 해달라"고 불쑥 청했다. 그는 생판 처음 보는 청년들에게 선선히 자기 얘길 털어놨다. 그는 '실패의 철학'이 있었다.
"무식한 사람도 실패가 자원이 되고 능력이 되더라고요. 실패해본 사람은 과하게 무리하지 않아요. 사다리가 없는 데까지는 올라가지 않는 거예요. 전에는 뭐든 무리하게 욕심내서 하다 보니 실패하면 그대로 추락해버리곤 했죠. 근데 이젠 아래를 보면서 올라갈 줄 알게 됐어요."
황씨를 찾아간 젊은이 5명은 김태민(32)·박채림(31)·김진영(29)·이일규(34)·김강이(34)씨다. 이들은 지난해 '롸이팅라이더즈'(Writing Riders)라는 이름으로 사무실 없는 잡지사를 차렸다. 글쓰기를 좋아하는 자전거 마니아들이라는 뜻이다.
원래 한 회사 다니면서 친해진 동료들인데, 지금은 각자 뿔뿔이 흩어져 다른 회사에 다니거나 프리랜서로 일한다. 이들이 생업과 별도로 개인 시간을 쪼개서 도전한 게 '60~70대 이상 노인 전문 잡지'다. 제호는 '그랜드매거진 할'. 올해 6월 첫 책을 냈고, 내년 초에 두 번째 책을 낸다.
160쪽 내용 중엔 생활 정보도, 정책 이슈도 없다. 노인 법안·의료 정보·복지 문제를 다루는 대신, 이들은 평범한 노인들을 섭외해 인생사를 듣는다. 취재원 한 사람당 3~8회에 걸쳐 심층 인터뷰 한다. 취지에 공감하는 사진작가들이 재능 기부 차원에서 무료로 세련된 사진을 촬영해준다. 평범한 사람의 인생 역정을 받아적는 데 왜 이런 공력을 쏟아부을까?
-
- ‘그랜드매거진 할’에 실린 사람들 중 유일하게 튀는 인생을 산 사람이 1960년대 록밴드‘키보이스’보컬 차도균씨다. 젊어선 스타였지만 중년 이후엔 민속주점 주인장으로 고생을 많이 했다. 요즘은 노인·장애인을 위한 무료 공연을 자주 한다. /롸이팅라이더즈 제공
전문가들은 "우리 사회처럼 '남들이 생각하는 노인'과 '실제의 노인' 사이에 괴리가 있는 곳도 드물다"고 했다. 노인 복지 비용 때문에 위 세대와 아래 세대 사이에 '세대 전쟁'이 벌어지지 않으려면, 노인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일부터 해야 한다. 특히 지금 20대 이하 중에는 노인과 한집에 살아본 경험이 한 번도 없는 사람이 수없이 많다. 그들은 핵가족과 도시화로 직계가족 말고는 모든 사람이 뚝뚝 떨어져 사는 게 당연해진 사회에서 자랐다. 10대는 입시, 20대는 취업 때문에 어쩌다 하는 가족 행사도 불참하는 경우가 많다.
다섯 젊은이가 노인들을 만나면서 배운 점이 있다면 뭘까. 그들은 "노인이라고 저절로 너그러워지는 게 아니라는 걸 알았다"고 했다. "노인이라고 욕망이 없는 게 아니라는 걸 알았어요. 노인도 사랑하고 싶어 하고, 화장하고 싶어 하고, 좋은 물건 보면 갖고 싶어 해요. 우리와 다른 점은, 우리는 아직 욕망을 못 참는데 그분들은 여러 가지 일을 겪어서 누를 줄 알게 됐다는 것뿐이에요."(김진영)
김태민 대표는 "어떤 이력을 가진 분이건, 인터뷰에 응한 어르신들이 우리가 묻기도 전에 꼭 하시는 말씀이 두 가지 있더라"고 했다. 하나는 "나는 차 타면 앉으려 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얘기, 다른 하나는 "지금 이 얘기, 자식한테도 한 적 없는데…"였다. "잡지를 읽은 자식들이 '우리 아버지가 이렇게 고생한 줄 몰랐다'고 전화해온 적도 있어요. 혹시 우리 사회가 어른들 개개인의 삶을 하나도 모르면서 무조건 '노인'이라고 하나로 뭉뚱그리고, '노인 때문에 부담 된다'고 몰아붙여온 건 아닐까요?"
자료출처 : 조선일보 2014. 12. 5.
'은퇴 후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計·身計·老計·家計·死計… 행복한 은퇴 '5計'안에 있다 (0) | 2015.09.25 |
---|---|
"은퇴 前에 준비해놓을걸…" 가장 후회하는 세가지는? (0) | 2014.12.09 |
[한국인의 마지막 10년] 70代, 자산 연금化해 일정한 생활비 얻고 홀로 남게 될 배우자 미래 함께 고민해야 (0) | 2014.12.09 |
[한국인의 마지막 10년] 40代, 특기·취미 키울 수 있는 마지막 시기… '평생 친구' 될 배우자와 더욱 가까워져라 (0) | 2014.12.09 |
[한국인의 마지막 10년] 日, 동네마다 託老所(탁로소·노인을 낮 동안 돌봐주는 곳)·요양 지원센터… 내 집에서 '마지막 10년' 보내 (0) | 2014.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