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벽주의자를 위한 행복 수업(탈 벤 샤하르 지음/우세웅 옮김/슬로미디어그룹)
* 79쪽
최고의 삶을 위해서는 우리 자신에게 오는 모든 감정을 온전하게 느끼고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 123쪽
감사하는 마음은 가장 중요한 미덕일 뿐 아니라 다른 모든 것의 근본이다. - 키케로 -
* 129쪽
완벽을 추구한다면 우리 자신에 대해 영원히 만족하지 못한다. 아무리 잘생긴 사람도 백조를 동경하는 미운 오리새끼처럼 느낀다.
* 140쪽
아이는 강렬한 감정을 느낄 때 누구의 말에도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조언이나 위안이나 건설적인 비판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단지 자신을 이해해주기를 바란다.
아이가 강렬한 감정을 느낄 때 “그렇게 느끼는 것은 좋지 않다.” 또는 “그런 식으로 느낄 이유가 없다”는 마라로 설득하는 것은 아무 소용이 없다. 강렬한 감정은 쫓아낸다고 해서 사라지지 않는다. 아이를 이해하고 인정하며 받아들일 때 비로소 강도가 줄어들고 수그러든다. 아이뿐 아니라 어른도 마찬가지다. - 기너트 -
아이나 배우자가 그 누구(우리 자신을 포함해서)와 대화를 나눌 때 만일 상대방의 감정이 격해지면 일단 그 감정을 인정해주는 것이 최선이다. 설득하거나 가르치거나 조언을 하는 것은 잠시 보류하는 것이 좋다.
* 154쪽
부모와 교사는 아이에게 분명한 방향을 제시하고 옳고 그른 것을 지적해주면 아이가 실수를 피하고 더 빨리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지침은 아이에게 필요하며 실제로 건강한 발달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좋은 약도 지나치면 독이 되는 법이다. 아이에게는 미지의 영역을 탐험하다가 이따금 막다른 골목에 부딪치는 경험도 필요하다.
아이러니하게 부모의 과다한 칭찬과 격려는 과다한 비난만큼이나 아이에게 해로울 수 있다. 일부 부모는 심리학자와 육아 전문가의 조언에 따라 아이가 뭔가를 잘할 때마다 아낌없이 칭찬을 한다. 칭찬은 물론 중요하지만 아이들은 또한 칭찬이나 비판을 듣지 않고 스스로 공부나 놀이에 집중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 158쪽
부모는 아이가 청년이 될 때까지 방임과 과잉보호 사이에서 중도를 찾아야 한다. 하지만 완벽주의 부모는 아이가 10대가 되어도 계속 아이 주변을 맴돌면서 아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들어준다. 게다가 아이에게 감정적이고 정신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려고 한다. 교사나 친구와의 사이에 갈등이 생기거나 어떤 과목이나 과제 때문에 힘들어하면, 부모가 나서서 문제를 해결한다. 이처럼 부모가 아이를 대신해서 모든 문제를 해결한다면 역효과가 일어나 아이의 발전에 해로울 수 있다.
* 161쪽
노력을 강조하면 아이들은 자제력을 배우고 스스로 성공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타고난 지능을 강조하면 아이들은 성공이 자신의 통제력에서 벗어나 있다고 생각하게 되고 실패에 대해 속수무책이 된다.
부모는 자녀의 지능과 재능을 칭찬해주면 영구적인 자신감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역효과가 날 수 있다. 뭔가 어렵거나 잘못되면 곧바로 자신을 의심하게 하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녀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도전을 사랑하고 실수를 통해 자극을 받고 노력하는 것을 즐기고 계속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고정형 사고방식은 완벽주의와 유사하고 성장형 사고방식은 최적주의와 유사하다. 재능을 칭찬하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만들 수 있다. 정말 똑똑한 사람은 실패하지 않는다는 생각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노력을 칭찬하면 결과가 아닌 이행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성공이나 실패보다는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게 하는 것이다. 고정형 사고방식(완벽주의)이 실패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을 느끼고 실패하면 큰일이 나는 것처럼 생각한다면, 성장형 사고방식(최적주의)은 실패를 성장과 기회로 인식한다.
* 166쪽
아이들의 눈치를 보고 응석을 받아주는 부모보다는 분명한 경계를 정해주는 솔직한 부모가 존경받을 수 있다. 아이가 최적주의자가 되도록 유도하려면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칭찬이나 비판을 해야 한다.
* 239쪽
우리는 고통을 거부하거나 불가피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리고 힘든 시련을 받아들이고 끌어안는 법을 배울 때 고통은 성장을 위한 도구가 된다.
* 250쪽
행동하지 않음으로써 아무 상처도 받지 않는 사람은 성인이 아니다. 비겁자다. 진정한 영웅은 스스로 인간적인 약점을 드러내는 사람이다. 그들은 성공하려면 우선 실패해야 하며, 행동하려면 더러워질 각오를 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 255쪽
노화와 싸우는 데 투자하는 노력의 일부를 노년을 잘 보내기 위한 방향으로 돌려야 한다. 지금 나이가 20세든 80세든 여생을 자연의 순리와 싸우면서 보낼 것인지 아니면 포용할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독서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이 흐르는 대로(지나영 지음) (0) | 2023.09.11 |
---|---|
나는 이렇게 나이들고 싶다(소노 아야코 지음) (0) | 2023.09.11 |
정확한 말, 세련된 말, 배려의 말(강성곤 지음) (0) | 2023.08.20 |
한 문장이라도 제대로 쓰는 법(이연정 지음) (2) | 2023.08.20 |
치매 진행을 늦추는 대화의 기술(요시다 가츠아키 지음) (0) | 2023.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