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 現場 학습 부작용도 대비하자
조주행 서울교육삼락회 이사
자유학기제가 2016년부터 전면 시행된다고 한다. 이 제도를 도입한 주된 취지는, 성적 중심의 과잉 학습을 지향하는 현행 학교 교육이 어린 학생들의 건강을 해치는 데다 지나친 경쟁심 때문에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압박이 지나치므로, 학교를 벗어나 진로와 꿈을 찾는 활동에 참가하게 하자는 데 있다.
자유학기제를 찬성하는 사람들은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진로에 대해 관심을 갖고 탐구하는 변화가 생길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심지어 학교 폭력, 학교 붕괴, 교권 실추, 학교 교육 해체, 학교 무용론 등이 증폭되고 있는 교육 위기의 악순환 고리를 끊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할 미래 교육 모형이라고 극찬하기까지 한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학교 현장의 문제를 과장한 것이다. 원인 분석도 현장의 인식과는 괴리가 크다.
우선 한 학기 교육으로 학생들의 의식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기를 기대하는 것 자체가 무리이다. 그분들이 말하는 학교 교육의 활력이 살아난다는 이유는 뻔하다. 딱딱한 교과 수업을 받지 않아도 되는 해방감 때문이다. 현장 학습을 하러 다니며 이곳저곳을 구경하고 체험 학습이나 게임을 하니, 공부하기 싫은 60~70% 학생은 천국과 같은 생활일 것이다. 그러나 지적 호기심과 탐구 의욕에 불타는 30~40% 학생은 수업권을 박탈당한 채 학교와 사회를 불신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진로 탐색 활동은 교내 서클 활동이나 창의·인성 시간 운영으로도 충분히 소화할 수 있다. 선택 능력이나 자격을 갖추지 못해 선택 기회가 허락되지 않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부와 명예가 집중되는 최상 직업을 유망 직업으로 선망하도록 부추기는 교육은 무의미하다.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는 직업은 불과 몇 유형에 지나지 않는다. 3만 가지에 이르는 다양한 직업을 일일이 설명할 수도 없을뿐더러 학생들도 전문적이고 복잡한 직업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학생들의 현장 견학, 체험 학습, 실습 활동에 협조할 사회교육 시설도 없다. 온 나라가 경제 불황으로 시달리고 있어 외부에서 협조받기도 쉽지 않다. 정부는 일반계고 학생 60%가 근면·성실한 직업윤리 의식도 내면화하지 못한 채 졸업하는 현실을 알아야 한다. 자유학기제는 시수를 줄여서 직업윤리에 중점을 두고 시행하는 것이 옳다.
조선일보 2015. 1. 21. 보도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 유머로 펀 리더 (0) | 2015.02.27 |
---|---|
창의적 인재 양성 막는 下向 平準化 정책 (0) | 2015.01.22 |
밥상머리 교육의 효과 (0) | 2015.01.06 |
떴다 드론(무인기·drone)? 역사가 즐거워졌다 (0) | 2014.12.09 |
수강생 평균 연령 69세 "늘 마지막이라 여기며 공부" (0) | 2014.1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