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록

모두가 행복해지는 공감 연습(김환 지음)

by 많은이용 2022. 11. 29.

모두가 행복해지는 공감 연습(김환 지음/원앤원콘텐츠그룹)

 

* 17

나를 내려놓고 그를 받아들여야 사랑이 시작되는 것처럼, 공감할 때도 자기의 틀로 평가하지 않고 상대의 입장에서 그의

눈과 귀로 보고 느껴야 공감이 시작된다.

 

* 25

일대일의 대인관계에서는 동정이 항상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은 않는다. 동정은 공감과 달리 상대방의 마음에 맞춰지지 않은 자기 위주의 감정적 반응이기 때문이다. 이 점이 공감과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즉 공감은 상대방의 아픔과 고통을

그의 입장에서 함께 느끼는 것인데 반해, 동정은 상대방의 처지를 보고 자신의 아픔과 고통을 떠올리는 것이다.

 

* 30

편견은 내가 다른 사람을 사랑하지 못하게 막는다. - 제인 오스틴. 오만과 편견 중에서 -

 

* 31

자기를 내려놓는다는 것이 주체로서의 (I self)’를 포기하라는 뜻은 당연히 아니다. 혼자 사물을 분석하거나 평가하는

작업을 한다면 를 내려놓을 필요는 없다. 다만 타인과 관계를 맺을 때, 그리고 공감하려고 할 때는 를 내려놓자!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와 또 다른 가 만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제대로 공감하려면 나를 내려놓는 것이 필요하다.

 

* 55

어떤 감정과 욕구를 느끼고 있다면 그것을 감추려고 하지 않아야 한다. 감정과 욕구를 인정하고 솔직하게 표현하라. 그것이 곧 나를 존중하는 것이다.

 

* 76

상처를 치유한다는 말은 상처를 없앤다기보다는 상처의 영향에서 자유로워진다고 할 수 있다.

 

* 95

공감의 준비물은 편견이나 선입견이 없는 열린 마음이다.

 

* 103

아무 말 없이 이심전심으로 공감을 전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이심전심으로 공감한다는 것은 동상이몽인 경우가 많다. 공감한 내용을 언어를 통해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 107

공감한 바를 상대방에게 언어로 표현해 상대방에게도 자신이 공감하고 있음을 전달하는 것이 좋다.

 

* 154

섣불리 위로하거나 조언하거나 설명하지 말고, 공감을 먼저 한 다음 조언하고 안심시키는 순서를 지키자.

 

* 190

자신의 입장에서 상대방을 가르치려 들지 않고 상대방의 입자아에서 먼저 생각하는 태도를 익히자.

 

* 229

걱정은 내일의 슬픔을 덮어주는 것이 아니라 오늘의 힘을 빼앗아간다. - 코리 텐 붐 -

 

* 259

항상 관계를 소중히 하고 개개인의 고유성을 존중하며 다름을 인정하자.

 

* 261

공감은 다른 사람의 생각과 감정을 그의 입장에서 느끼고 이해해주는 것이다. 만일 적절한 언어 표현을 찾지 못하겠다면 일단 상대방의 말에 맞장구를 치거나 그랬구나.”라는 멘트를 사용하면 좋다. 상대방을 가르치려 하거나 충고하려고 하지 말고 상대방의 말을 잘 듣고 그랬구나.” “그래서 화가 났구나.” “그래서 슬펐구나.”라고 받아주는 것이다.

 

 

댓글